화폐가치 계산 물가상승 및 수익률 리스크 헷지전략

화폐가치 계산 물가상승 및 수익률 리스크 헷지전략

한국은행, 경제금융단어 700선 홈페이지 조사 연구 간행물 단행본 경제교육연관 발간자료 원본 다운로드 래퍼곡선레그테크레버리지효과레버리지비율로렌츠곡선로보어드바이저리디노미네이션경제단어 700선 국어 비독서 경제지문 활용미국의 경제학자 래퍼A. Laffer가 제시한 조세수입과 세율 간의 관계를 나타낸 곡선을 말합니다. 래퍼는 세율이 0에서 100로 증가할 때 조세수입은 상승하다가 정점에 이른 후 다시 하강한다면서, 세율t을 수평축에 조세수입T을 수직축에 놓고 이들의 관계를 그려보시면 아래 그림과 같이 역 U자 모양의 곡선이 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래퍼곡선Laffer curve에 의하면 세율이 높아지면 시작할 때는 세수가 늘어나나 일정 수준t이 넘으면 오히려 감소하므로 현재의 세율이 세수가 가장 많은 수준t을 넘지 않았다면 세수증대를 위해서는 세율을 올려야 하며 반대로 현재의 세율이 세수가 가장 많은 수준을 넘었다면 감세가 세수증대에 도움이 됩니다.


물가지수 계산
물가지수 계산

물가지수 계산

한국의 경우 소비자물가지수는 통계청에서 매월 작성하여 공표합니다. 현재 통계청은 전국 37개 도시에서 총 481개의 상품 및 서비스 품목을 대상으로 소비자구입가격을 조사하며 기준시점인 2010년의 소비자물가수준을 100으로 한 지수 형태로 작성 및 발표하고 있습니다. 물가 조사와 지수 산출은 통계청이 하고있지만, 한국은행이 5년에 한 번씩 소비자물가지수 산출에 포함되는 물품을 선정하기 때문에 5년마다. 지수가 100으로 리셋되며, 한국은행에서는 가계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0.01 이상인 것들 중에서 500개의 물품을 선정하고 여기에 가중치를 설정하기 때문에 거래량이 극히 드문 물품은 소비자물가지수에 반영되지 않습니다.

한국의 소비자물가지수는 기준이 되는 때를 100으로 놓고 비교시점의 물가수준이 어떤정도로 되는가에 대한 상대적인 크기를 표시한 것입니다.

예금은행 수신금리 추이
예금은행 수신금리 추이

예금은행 수신금리 추이

시중 은행 예금 수신금리 추이를 살펴보고 연금 수령이나 노후 재무설계에 있어 물가상승 리스크를 해소할 대책을 살펴볼 것입니다. 지난 5년간 시중은행 예금 수신금리 추이를 살펴보니 연 0.8 수준까지 하락하였다가 최근 그나마 2.4대로 급상승꺾은선그래프 하긴 하였으며 돈의 냄새를 맡고 예금도 빠르게 증가막대그래프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예금 금리가 올라 웬떡이냐 좋아라 할 것이 아니라 상기에서 확인하였듯이 물가지수는 연 35 이상 올라가고 있으니 인출하여 생활비로 사용 중인 화폐원칙은 급락하고 있는 것이고 해가 거듭할수록 생활의 고통지수만 상승할 것입니다.

금리 4 vs 8 복리수익률 비교
금리 4 vs 8 복리수익률 비교

금리 4 vs 8 복리수익률 비교

월 300,000원, 30년적립 금리 2.4 vs 금리 8의 수익률 비교를 하여 보았습니다. 월 300,000원씩 30년을 적립할 경우 금리 2.4는 원리금 합계 1억 5천7백만원이고 금리 8의 경우 원리금 합계는 4억 4천7백만원으로 약 3배의 차이가 발생합니다. 근로소득을 금융으로 이전하는 기간이든 소득 생활은 종료되어 월100만원 연금을 인출하여 생활하는 기간이든 물가상승 리스크를 적극적으로 헷지 하기 위해서는 수일률 제고가 무엇보다.

필요합니다.는 것을 보여주는 데이터입니다. 그나마 이같이 결과도 생활수준이 상승하는 것이 아닌 화폐가치 하락을 방어하고 생활수준을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대책이라는 것이지요 이같이 현실을 모르는 것이 아닌 모두가 알고 있을 것입니다.

한국은행 GDP디플레이터 추이

GDP디플레이터는 일종의 물가지수로서 국내에서 생산된 모든 최종생산물의 가격 변화를 측정한 지표입니다. 따라서 GDP디플레이터를 이용하면 여러 활용이 가능합니다. 예를들면 실질GDP를 구하기 위한 보정계수로 사용할 수 있는데, 실질GDP는 명목GDP에서 가격 변동 요인을 제거하고 생산량의 증감만을 반영한 지표입니다. 이걸 구하기 위해서는 명목GDP에 GDP디플레이터를 나눠주면 됩니다. 만약 2021년의 명목GDP가 216,300만원이고, GDP디플레이터가 122라면, 2021년의 실질GDP는 216,300 divide 1.22 177,295만 원이 됩니다.

아니면 인플레이션을 계산하기 위해서 GDP디플레이션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물가지수 계산

한국의 경우 소비자물가지수는 통계청에서 매월 작성하여 공표합니다. 좀 더 구체적인 사항은 본문을 참고해 주세요.

예금은행 수신금리 추이

시중 은행 예금 수신금리 추이를 살펴보고 연금 수령이나 노후 재무설계에 있어 물가상승 리스크를 해소할 대책을 살펴볼 것입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금리 4 vs 8 복리수익률

월 300,000원, 30년적립 금리 2. 더 알고싶으시면 본문을 클릭해주세요.